오늘도 맑음!
요즘 정말 물가가 너무 올랐다..
https://sunnytoday365.tistory.com/98
소비자물가 상승률 23년8개월만에 최고치!
오늘도 맑음! 전에 서울 근교 식당 돈까스를 먹으려고 했는데 왕돈까스가 1만3천원, 냉면이 9천원이었다. 비싸네~ 하며 먹었는데 얼마 후 서울 시내에서 밥을 먹을라 봤더니 기본 돈까스가 1만3천
sunnytoday365.tistory.com
내가 이 글을 쓸 때만 해도 작년이었네..
지금은 더 올랐는데.. -_-
여하튼 그랬는데 오늘 본 기사는
우리 가계들의 소득이 평균 500만원이 넘었다는 소식이었다.
그래 우리집도 뭔가 찍히는 소득이 쪼금이지만 그래도 오르긴 올랐지..
그런데 왜케 매달 카드값이 힘듦? ㅠㅠ
그랬더니만 나만 그런건 아닌가 보다.
https://v.daum.net/v/20230525143230506
1분기 가계소득 '월 500만원' 돌파...실질소득은 제자리
올해 1분기 가계의 명목소득은 늘었지만, 물가 상승에 실질소득은 제자리걸음 했습니다. 공공요금 인상의 여파로 연료비는 역대 최대 폭으로 늘었습니다. 오늘(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분
v.daum.net
'2023년 1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은 505만4천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습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5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역대 처음입니다.
그래 여기까진 즐겁다..
다만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 또한 전년 동기 대비 4.7% 상승하면서
실질소득에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올해 1분기 가계 지출은 388만5천원으로 1년 전보다 11.1% 늘었고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82만2천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6.4% 늘었다.
품목별로는 음식·숙박(21.1%), 교통(21.6%), 오락·문화(34.9%), 주거·수도·광열(11.5%) 등에서
지출이 크게 늘었습니다.
반면 식료품·비주류음료(-2.9%)는 감소했습니다.
....
가계 대출 증가와 고금리의 영향으로 이자 비용이 작년보다 42.8% 늘었습니다.
증가 폭은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입니다.
그래 아파트 관리비가 앞자리 바뀐 뒤로 떨어지지 않는다..ㅠㅠ
원금은 작아졌는데 내는 이자는 비슷하다.. ㅠㅠ
실질소득이 제자리인 거에 감사해야 하는 걸까..
정말 미쳐버린 물가가.. 다시 떨어질 수 있을까?
부디 진짜 실질소득도 증가하길..
https://v.daum.net/v/20230525120105144
실질소득 감소세 멈췄다...연료비·이자 지출은 '역대 최대'
기사내용 요약 통계청, 2023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가구당 월평균소득 505.4만원…4.7%↑ 물가상승 둔화 영향에 실질소득 보합 식료품 제외 주요 품목 일제히 증가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올해
v.daum.net
'오늘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공 250m에서 비행기 문 연 30대 검거 (0) | 2023.05.26 |
---|---|
숙박대전이 시작된다~ 대한민국 숙박세일페스타 (0) | 2023.05.25 |
아테놀올 성분 혈압약 줄줄이 생산 중단 (0) | 2023.05.24 |
500만원 작품 깨트린 아이 (0) | 2023.05.22 |
5월개방한 용산어린이정원, 오염 기준치 초과 (0) | 2023.05.19 |